The paper list what I have read

읽은 논문을 정리하여 짧게 comment를 남겨보자!

딥러닝 분야를 공부하다 보니 정말 봐야할 논문이 끊임없이 나오는 것 같다….
모든 논문을 세세하게 review하고 싶지만, 시간 관계상 그러기란 쉽지 않다.

읽은 논문들을 간략하게 Comment 및 Main Idea를 기록해두면 효과적일 것이라 생각한다.

논문 링크를 걸어 두고, 간단하게 Comment를 남기는 식으로 정리를 해보자.

Classiciation

ICML 2019에 소개된 논문이며 2021년 1월 기준으로 인용수가 약 1500회 정도 될만큼 여러 딥러닝 모델의 Backbone network로 사용되고 있다.
보통 딥러닝 모델 연구는 Channel Scale, Depth Scale, Resolution(Width & Height) Scale이 각각 발전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이 논문은 이 모든 Scale을 모두 고려하여(Compound Scale) 딥러닝 모델을 설계하자는 것이 핵심 아이디어다.
또한 NAS(Neural Architecture Search)기반으로 Baseline network를 직접 설계하였다.

Depth Estimation

  • Unsupervised monocular depth estimation with left-right consistency

    CVPR 2017에 소개된 Unsupervised learning으로 Depth estimation model을 제시한 논문이다.
    이 논문의 핵심은 단일의 이미지(Left View Image)로 다른 시점의 이미지(Right View Image)를 만들어 내고,
    그 두 이미지의 disparity를 이용하여 Depth를 구한다는 것
    이다.

  • Learning the Depths of Moving People by Watching Frozen People

    CVPR 2019에 소개된 논문으로 단일의 카메라를 이용해서 객체의 Depth를 추정하는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이 논문의 main idea는 카메라도 움직이고, 물체가 움직인다는 상황에서 물체의 깊이를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 모델을 이용해서 새로운 DataSet도 만들어 내었다. 다만 모델의 Input으로 사진뿐 아니라 여러 추가적인 정보들이 들어가야 하고, 자체적으로 만든 평가지표에서 좋은 성능을 냈다고 주장하고 있다.

3D Object Detection

  • Total3DUnderstanding: Joint Layout, Object Pose and Mesh Reconstruction for Indoor Scenes from a Single Image

    CVPR 2020에 소개된 논문으로 실내 공간의 단일의 이미지에서 Object를 3차원으로 찾고, 찾은 물체를 Mesh를 통해 reconstruction하는 방법을 제시한 논문이다.
    NIPS 2018에서 소개된 ‘Cooperative Holistic Scene Understanding: Unifying 3D Object, Layout, and Camera Pose Estimation’
    CVPR 2018에서 소개된 ‘Relation Networks for Object Detection’ 그리고 ICCV 2019에서 소개된 ‘Deep Mesh Reconstruction from Single RGB Images via Topology Modification Networks’ 를 한번에 처리를 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설계했다.

Segmentation

  • BiSeNet V2: Bilateral Network with Guided Aggregation for Real-time Semantic Segmentation

    CVPR 2020에 소개 된 논문으로 Real time으로 Semantic Segmentation하는 방법을 제시한 논문이다.
    두 개의 Branch를 만들어 low-level detail(Edge, Corner)과 high-level semantic(어떤 물체인지 구별)을 동시에 진행하는 모델을 제안했다.
    $\gamma$를 통해 Detail branch와 Semantic branch의 비율을 조절하고 있다.
    새로운 Backbone network를 만들어 제안했기 때문에 논문에서 비교 실험을 많이 진행했다.

댓글남기기